본문 바로가기

PEET 공부/일반생물학

04. 세포막의 구조와 기능 - 막의 구조

개요
- 막의 구조
— 비대칭성 : 인지질, 당지질, 단백질
— 유동성 : 인지질, 단백질

1. 세포막 모델
- 인지질 이중층
- 단백질 모자이크 패턴
cf. 인테그린 + 미세섬유 -> 고정통해 유동성 감소
[유동 모자이크 모델]
ㄱ. 인지질
— 글리세로 인지질 -> 비대칭성
— 스핑고 인지질 -> 유동성 제한
ㄴ. 당지질
— 스핑고 인지질 -> 인식, 인지
ㄷ. 스테롤 : 막 안정화, 대칭적 분포

3. 인지질 - 비대칭성
- 친수성 머리 : 콜린 (+ 전하) -> Na+, H+ 1차 저지
- 소수성 꼬리 : 불포화 지방산
** 비대칭성
활면소포체 : 생성 —플립플롭—> 원형질막
=> 외부에 존재 : 스핑고 미엘린, 포스파티딜 콜린
=> 내부에 존재 : 포스파티딜 세린, 포스파티딜 이노시톨

4. 스핑고 지질
- 스핑고 미엘린 : 유동성 제한, 절연
- 갱글리오시드 : 인식

5. 콜레스테롤
- Na+, H+ 2차 저지
- 막 유동성 완충

6. 인지질 유동성 요인
ㄱ. 온도 증가 (Tm 이상)
ㄴ. 스핑고 미엘린 적은
ㄷ. 지방산 길이 짧은
ㄹ. 불포화 지방산 존재
ㅁ. 콜레스테롤 적은

6. 단백질 - 비대칭성
** 단백질 비대칭성 실험 **
[1] 소수성 지표
[2] 락토퍼옥시다제 - 아이오딘을 고정시킴
- 고농도 : 외부에 존재
- 저농도 : 물과 함께 세포 내로 유입
[3] 적혈구 막관통단백질 Band3
- Band3 - 스펙트린 - 앤키린 - 미세섬유
- 막 유동성 제한
- 내부에만 존재 = 비대칭성

7. 막 단백질 유동성은 제한된다
- 세포골격에 연결
- 세포 외 기질에 연결
- 다른 세포의 표면 단백질에 연결
- 지질뗏목 : 스핑고 지질 많, 지방산 길이 길, 카베올린 존재
cf. 카베올린 - 측면확산 방지 단백질, 신호 전달에 중요한 역할

8. 막 단백질 수평 유동성 검사
ㄱ. FRAP - 회복정도 측정
ㄴ. FLIP - 소실정도 측정
ㄷ. FRET - 단백질 간 근접성 검사 : 가까우면 파장이 길어짐 (에너지 손실 발생하기 때문에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