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생물체를 구성하는 원자
- 방사성 동위원소를 통한 추적 + 정량
2. 화학결합
- C-C, C-H : 장기 에너지 저장, 지방산
- C-OH : 단기 에너지 사용, 탄수화물
3. 물 구조와 특성
** pH 조절과 완충용액
Type 1. pH = pKa 일 때, 이온화 완충작용 증대 : 핸더슨 하셀바흐 방정식
Type 2. pH 와 pKa 비교를 통해 수용액 속 존재형태 파악 (ex. 아스피린 흡수 형태)
Type 2. 히스티딘 : 유일하게 생리적 pH 근처에서 완충작용 수행
- 아미노산의 등전점 : 언제나 항상 그래프 그리기
4. 산, 염기 불균형
- pH 변화의 결과 대사활성에 혼란 야기
- 대사성 산증(케토산증, 젖산, 설사) : HCO3- 감소 -> 호흡 증가시켜 CO2 증가
- 대사성 알칼리증(구토) : HCO3- 증가 -> 호흡 감소시켜 CO2 감소
- 호흡성 산증(천식) (고칼륨혈증 유발) : CO2 증가 -> 신장에서 HCO3- 재흡수 증가
- 호흡성 알칼리증(과다호흡) (고칼륨혈증 유발) : CO2 감소 -> 신장에서 HCO3- 배출 증가, H+ 재흡수 증가
5. 광학이성질체와 효소특이성
- 당 : D-form 만 GluT가 인식
- 아미노산 : L-form 만 t-RNA 충전효소가 인식
- 도파민 : L-Dopa 만 BBB 통과 가능
- 탈리도마이드 : R -> S-form 체내에서 전환, 혈관 신생 저하
'PEET 공부 > 일반생물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03. 세포의 구성물질 - 단백질 (0) | 2020.03.14 |
---|---|
03. 세포의 구성물질 - 지질 (0) | 2020.03.14 |
03. 세포의 구성물질 - 탄수화물 (0) | 2020.03.14 |
01. 생명의 특성과 과학적 연구방법 (0) | 2020.03.14 |
생물 공부 방향 (0) | 2020.02.21 |